코로나 언택트 시대 자기주도 학습 능력 키우기
자기주도 학습의 핵심은 바로 '능동성' 입니다.
자기주도 학습 능력을 키워주고 싶다면 아이의 생각하는 능력부터 만들어줘야 합니다.
또한 목표 의식을 키워주는게 중요합니다.
내가 왜 공부를 하는지 무엇을 위해 공부하고 있는지를 잘 알고 있는 아이가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하게 됩니다.
고득점을 올리는 학생들의 3가지 공통점의 특징은 '배움'의 과정과 매우 닮았습니다.
배움은 어떻게 이루어질까요? 우선 지식의 양이 풍부해야 합니다.
역사공부를 잘하려면 기본적으로 역사적 지시을 알아야 합니다. 단순히 교과서만 달달 외우는게 아니라
선생님이 어떤 지점을 중요하게 설명하는지, 각 교과서의 지식들이 어떻게 서로 연관되어 있는지를
집중해서 들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자신이 잘 이해하는 건 무엇이고 잘 이해하지 못한 것은 무엇인지를 알고
자기방식으로 다시 설명하고 전달할 수 있어야 합니다.
똑같은 환경과 조건에서 잘하는 사람, 못하는 사람으로 나뉘는 이유는 두뇌 OS 차이 때문이다.
타고난 두뇌 OS가 있지만 후천적으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두뇌 OS 의 차이는 생각하는냐, 생각하지 않느냐의 차이에서 생겨난다.
따라서 누뇌 OS 를 업그레이드하려면 일상적으로 생각하기가 이루어져야 한다.
'생각하는 상태' 에 이르게 하는 두가지 기본접근법
첫째 의문을 갖게하기
- 원인분석력, 자기표현력, 문제해결력을 키우게 하는 접근법
둘째 정리하게 하기
- 추상적 사고력, 구체적 사고력을 키우게 하는 접근법
'스스로 공부하는 아이' 가 되게하는데 필요한 사고력
- 적극적 사고력, 목적의식력, 원점회귀력, 가설구축력, 문제의식력
10가지 사고력을 어떻게 끌어올릴까요?
- 원인분석력, 자기표현력, 문제해결력, 추상적 사고력, 구체적 사고력,
적극적 사고력, 목적의식력, 원점회귀력, 가설구축력, 문제의식력
일상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자극을 통해 사고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
특히 중요한 것은 대화입니다.
현대에 들어설 수록 아이가 다른 사람과 맺는 상호작용의 중요성이 강조됩니다.
상호작용 중에서 어떤 것이 영향을 많이 미칠까요? 바로 언어적 작용입니다.
말은 뇌가 가장 강하게 반응하는 자극이기 때문입니다.
많은 교육 전문가들이 '부모의 말이 바뀌면 아이가 바뀐다' 라고 말합니다.
때문에 부모가 어떤 종류의 언어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아이의 사고력이 다르게 발달합니다.
'원인분석력' 을 키우는 부모언어 - 왜 그럴까?
- 의문은 저절로 생겨나지 않는다
'자기표현력'을 키우는 부모언어 - 어떻게 생각해?
- 아이에게 '질문있나요?' 라는 말보다는 '어떻게 느꼈어?' '어떻게 생각해?' 라는 말이 훨씬 효과적이다.
'문제해결력'을 키우는 부모 언어 - 어떻게 하면 좋을까?
- 문제해결력은 문제를 발견하는 사고력 뿐만 아니라 문제가 되는 상황을 '과제화'시키는 능력을 말한다.
'추상적 사고력'을 키우는 부모 언어 - 요약하면?
- 많은 시험 문제에도 당황하지 않으려면 정리하는 사고 능력, 즉 추상화하는 사고 능력을 자연스럽게 키워야 한다.
'구체적 사고력'을 키우는 부모의 언어 - 예를 들면?
- 구제적인 사실들 -> 추상화(요약) -> 다른 사실에 적용(응용)
- 추상적 지식 -> 구체화(예식) -> 다른 사실에 적용(응용)
부모언어를 활용할때 주의할 점 일곱가지
아이가 모르는 어휘를 사용한 질문
아이가 생각하기전에 먼저 대답
아이에게 집용하게 질문
아이에게 가르치려하기
같은질문 여러번 반복
모든 질문을 한번에 하려고 하기
당장 효과가 나타나기를 기대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래 직업 20가지 뜨는 직업 vs. 지는 직업 (0) | 2021.01.25 |
---|---|
21세기 학습역량을 키우는 융합교육 - 프로젝트기반 학습 (I) (0) | 2021.01.19 |
4차 산업혁명 대비 필요한 학교변화 8 가지 (0) | 2021.01.06 |
IB 국제 바칼로레아 주입식, 암기식, 획일적 교육대안 (0) | 2020.12.30 |
포스트 코로나 세상에 적합한 교육을 만드는 방법 (1) | 2020.12.16 |